협동중개연구센터 (Collaborative Translational Research Center, CTRC)
설립 목표 : 기초연구자와 임상연구자의 상호협력을 통한 원내 중개연구의 활성화 및 연구생산성 향상
의생명연구소 산하 센터 개소 (2015. 3.)
구성원 및 연구 분야
센터장 | 부센터장 | 담당교수 |
---|---|---|
김상엽(융합연구지원센터) | 백찬기(융합연구지원센터) | 오석희(소아일반과) |
소속 | 이름 | 연구분야 | 관심분야 | 관심키워드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융합연구 지원센터 |
김경곤 | 임상단백질체 연구, Biomarker 개발 |
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혈액, 조직, 세포 등 다양한 임상 시료에서 질환을 진단, 예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의 발굴, 확인 및 검증 연구 | 단백질체 (proteomics) 바이오마커 (Biomarker) 암 (cancer) 신약개발 (drug development) 질량분석 (mass spectrometry) |
kkkon1@amc.seoul.kr |
의생명 연구소 |
김나영 | 면역학,이식면역 | mouse liver/blood vessel ischemia reperfusion injury model 및 mouse skin graft model을 이용한 miRNA와 lipids의 acute inflammation 및 rejection 에서의 역할 연구. 암환자 immune monitoring 및 biomarker 발굴 | (Transplant immunology) (NK cells) (gamma delta T cells) (immune cell metabolism) (miRNA) |
nkimmunology@gmail.com |
융합연구 지원센터 |
김상엽 | 소동물 과학영상, 실시간 세포영상 |
sykimbear@gmail.com | ||
융합연구 지원센터 |
김석영 | FDG PET Imaging | 소동물 핵의학 영상 (PET imaging) 분자영상 (molecular imaging) 바이오마커 (biomarker) |
ksy0222@gmail.com | |
융합연구 지원센터 |
김인기 | HTS, 세포생물학 | ik.kim@amc.seoul.kr | ||
융합연구 지원센터 |
김효리 | 응용항체 개발 | 치료용 항체 신약 개발 | 신약개발 (drug development) 항체의약품 (therapeutic antibody) 항체 공학 (antibody engineering) 암 (cancer) 면역질환 (immune disease) |
hyorikim@amc.seoul.kr |
융합의학과 | 노진경 | 종양생물학 | 표적 및 면역 치료제의 항암 내성 기전 규명 및 극복 약물 개발 연구 | 폐암 (lung cancer) 항암내성 (chemotherapy resistance) 신약개발 (drug development) 암 전이 (tumor metastasis) 면역회피 (immune escape) |
jkrho@amc.seoul.kr |
의생명 연구소 |
박장호 | 분자생물학 | 담관암 발병 기전을 간흡충 감염을 이용, 산화스트레스를 소음성 난청에 이용하여 난청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기전 연구 | 간흡충증 (Clonorchiasis/) 담관암 (담관암) 소음성난청난청 (noise exposed hearing loss) 산화스트레스에의한 질환 (oxidative stress-mediated diseases) 바이오마커 (biomarker) |
jhpak@amc.seoul.kr |
융합연구 지원센터 |
백인정 | 유전자변형마우스, 생식발생학 |
중개연구를 위한 유전자변형동물 및 제작기법 개발 연구/태반 특이적 단백질의 기능분석을 통한 자간전증 치료제 개발 연구/정자발생에서 퍼옥시좀의 기능분석 및 치료 후보물질 발굴 연구 | 유전자변형동물 (Genetically engineered animal models) 태반 (Placenta) 자간전증 (Preclampsia) 정자발생 (Spermatogenesis) 신약개발 (Drug development) |
ijbaek@amc.seoul.kr |
융합연구 지원센터 |
백찬기 | 형광계측 기반 생화학 세포생물학 | - 첨단 형광 및 무표지이미징기술을 상보적/융합적으로 이용하여 생물물리와 세포생물학적 기초연구 - 현미경기술을 나노체 약물전달을 비롯한 세포/조직관련 각 종 중개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플랫폼연구 - 무표지이미징(optical diffraction tomograpy)를 이용한 live cell특성평가 기술개발 |
첨단 현미경기술 (advanced microscopic techniques) 생물물리 (biophysics) 세포생물학 (cell biology) 세포물리화학 (cellular physical chemistry) 약물전달 (drug delivery) |
changipack@gmail.com |
융합연구 지원센터 |
성영훈 | 질환모델마우스 개발 및 검증 | 유전자의 생체 내 기능연구를 위한 형질동물모델 개발/환자유래 돌연변이 기반 질환모델마우스 확립/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제 개발 | 소아암 (mouse genetics) 형질전환동물 (transgenic animals) 유전자가위 (CRISPR-Cas system) 질환모델마우스 (Mouse models of human diseases) 유전자치료 (gene therapy) |
yhsung@amc.seoul.kr |
융합연구 지원센터 |
심우현 | Biomedical Computing | swh@amc.seoul.kr | ||
소아청소년 전문과 |
오석희 | arvyn@hanmail.net | |||
융합연구지원센터 | 우동철 | Magnetic Resonance Imaging | 질환동물모델과 바이오이미징을 이용한 약물의 유효성 평가/ 자기공명영상의 영상바이오마커 개발 | 자기공명영상 (MRI) 바이오이미징 (Bioimaging) 신약개발 (Drug Development) 진단 (Diagnosis) 동물모델 (Animal model) |
mri.dcwoo@gmail.com |
융합연구 지원센터 |
유현주 | 질량분석 기반 대사체학 지질체학 | 대사체학/지질체학을 이용한 질환 바이오마커 발굴 연구 | 대사체 (metabolite) 오믹스 (omics) 지질체학 (lipidomics) 대사체학 (metabolomics) 바이오마커 (biomarker) |
yoohyunju@amc.seoul.kr |
의생명 연구소 |
이종극 | 질병유전체학 | 유전체 분석기술을 이용한 가와사끼병의 병리기전 규명과 진단-예후 예측용 기술 개발 | 유전체학 (genomics) 전장유전체연관성연구 (genome-wide association study(GWAS)) 가와사끼병 (Kawasaki disease) B 세포 면역 (B cell immunity) |
|
의생명 연구소 |
이주영 | 뇌신경, 정신질환생물학 |
- 개념증명(proof-of-concept) 기반 기전, 원천기술 연구 - 노화, 신경질환 예방, 치료기술 연구 |
중추신경계 (central nervous system (CNS)) 퇴행성신경질환 (neurodegenerative disease) 급성뇌손상 (acute brain injury) 분자세포생화학 및 동물모델 연구 (molecular and cell biology, biochemistry, and animal models) 신경질환 생물학 (neurobiology of disease) |
jlee@amc.seoul.kr |
의생명 연구소 |
전은성 | 종양생물학 | 인체 종양 조직을 활용한 비임상모델 구축, 간/담도/췌장 종양의 진단 및 치료용 마커 연구, 종양의 발생 및 진행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및 이를 통한 항암제 개발 | 간,담도,췌장 ("liver, biliary tract, pancreas") 종양 (cancer) 비임상모델 (preclinical moedl) 진단 및 치료용 바이오마커 (theragnostic biomarker) 마이크로바이옴 (microbiome) |
eunsungjun@amc.seoul.kr |
의생명 연구소 |
정성윤 | 종양생물학, 항암물질-나노전달체 |
임상적 유용성 높은 타겟 발굴 및 이를 능동적으로 표적하는 약물전달시스템 활용한 새로운 개념의 암 치료제 개발 | 암 (cancer) 실험치료 (experimental therapeutics) 약물전달체 (drug delivery system) 신약개발 (drug development) 표적치료 (targeted therapy) |
syj@amc.seoul.kr |
의생명 연구소 |
정진용 | 감염질환, 병원미생물학 |
- 질환과 인체 마이크로바이옴과의 연관성 연구 - 다제내성 병원성세균의 항생제 내성 기전 연구 -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에 의한 질환 연구 |
마이크로바이옴 (microbiome) 감염질환 (infectious disease) 소화기질환 (gastrointestinal disease) |
jyjeong@amc.seoul.kr |
의생명 연구소 |
진형승 | Immunotherapy | 항암면역치료 저항성 유도 핵심 유전자 발굴 | 면역항암 (immuno-oncology) 알러지질환 (allergy) 신약개발 (drug development) |
hsjin@amc.seoul.kr |
의생명 연구소 |
탁은영 | microRNA, 간질환 | microRNA를 이용한 허혈성 간손상 치료기술 개발/간이식 환자 코호트를 이용한 거부반응 기전 연구 | 간세포암 (stroke) 마이크로알앤에이 (microRNA) 허혈성간손상 (ischemia reperfusion) |
eunyoung.tak@amc.seoul.kr |
의생명 연구소 |
하창훈 | 심혈관질환, 신생혈관 |
혈액 내 방출된 exosome을 이용한 진단 바이오마커 개발 / microbiome 연구를 통한 동맥경화 치료제 개발 / 혈관의 angiogenesis 연구 | 심혈관질환 (cardiovascular disease) 동맥경화증 (atherosclerosis) cellular signal transduction (세포내 신호전달기작) microbiome (장내 미생물) microRNA (마이크로알엔에이) |
chhoonha@amc.seoul.kr |
의생명 연구소 |
황정진 | 종양생물학, 퇴행성신경질환 |
jjhwang@amc.seoul.kr |
업무 내용
기초실험 AMIS 3.0 서비스 : 제공 항목
실험 항목
세포배양, Cell viability assay, ELISA, Immunoblotting, Immunoprecipitation, qRT-PCR
샘플 준비 : DNA, RNA, Protein, PBMCs
교육 항목
연구원 교육
문의
김상엽 담당 교수 (sykim3yk@amc.seoul.kr, 원내 T. 4139)
이재옥 연구원 (ctrc@amc.seoul.kr, 원내 T. 8661)